네트워크 계층이란?
네트워크 계층은 OSI 7계층 모델의 세 번째 계층으로, 데이터를 송신 호스트에서 수신 호스트로 전달하는 역할을 담당합니다. 이 과정에서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해 라우팅, 주소 지정, 경로 설정 등 주요 기능이 수행됩니다.
1. IP (Internet Protocol)의 개념과 특징
**IP(인터넷 프로토콜)**는 네트워크 계층에서 사용하는 주요 프로토콜로, 데이터 패킷을 송수신 장치 간에 전달하는 데 사용됩니다.
IP의 주요 특징
- 비연결성(Connectionless)
- IP는 데이터 전송 시 연결을 설정하지 않으며, 데이터 패킷을 독립적으로 처리합니다.
- 최선 노력 전달(Best-effort Delivery)
- 데이터 전송이 보장되지 않으며, 패킷 손실이나 지연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패킷 분할(Fragmentation)
- 데이터는 작은 크기의 패킷으로 분할되어 전송됩니다.
- 주소 지정(Addressing)
- 송신자와 수신자를 식별하기 위해 IP 주소를 사용합니다.
2. IPv4와 IPv6
IPv4(Internet Protocol Version 4)
- 특징:
- 32비트 주소 체계로 구성되어 최대 약 43억 개의 주소를 지원합니다.
- 주소 체계는 점-십진 표기법(예: 192.168.0.1)을 사용합니다.
- 주소 고갈 문제로 인해 IPv6로 전환이 진행 중입니다.
IPv6(Internet Protocol Version 6)
- 특징:
- 128비트 주소 체계로, 사실상 무한한 주소 공간을 제공합니다.
- 콜론-16진수 표기법(예: 2001:0db8:85a3::8a2e:0370:7334)을 사용합니다.
- 보안(암호화)과 QoS(Quality of Service) 지원이 향상되었습니다.
- 자동 구성 및 멀티캐스트 기능을 제공합니다.
IPv4와 IPv6 비교
특징IPv4IPv6
주소 체계 | 32비트 | 128비트 |
주소 표현 | 점-십진 표기법 | 콜론-16진수 표기법 |
주소 개수 | 약 43억 개 | 사실상 무한 |
보안 지원 | 제한적 | 암호화(IPSec) 기본 지원 |
헤더 크기 | 20바이트 | 40바이트 |
3. 라우팅 (Routing)
라우팅은 데이터를 송수신 장치 간에 올바르게 전달하기 위해 최적의 경로를 결정하는 프로세스입니다.
라우팅의 주요 개념
- 라우터(Router)
- 네트워크 간 데이터를 전달하는 장치로, IP 주소를 기반으로 패킷의 경로를 결정합니다.
- 라우팅 프로토콜
- 라우터 간 통신을 위해 경로 정보를 교환하고 최적의 경로를 설정합니다.
- 예:
- RIP(Routing Information Protocol): 거리 벡터 라우팅 프로토콜.
- OSPF(Open Shortest Path First): 링크 상태 라우팅 프로토콜.
- BGP(Border Gateway Protocol): 대규모 네트워크 간 라우팅.
- 정적 라우팅 vs 동적 라우팅
- 정적 라우팅: 관리자가 직접 경로를 설정.
- 동적 라우팅: 라우터가 스스로 경로를 학습 및 조정.
라우팅 과정
- 라우터는 라우팅 테이블을 기반으로 패킷의 목적지를 확인합니다.
- 최적의 경로를 선택해 다음 네트워크로 패킷을 전달합니다.
요약
네트워크 계층은 데이터가 여러 네트워크를 거쳐 전달되도록 하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하며, IP 프로토콜과 라우팅 메커니즘이 이를 지원합니다. IPv4와 IPv6는 각각 주소 체계에서 차이가 있으며, 라우팅은 네트워크 효율성을 보장하는 필수적인 작업입니다.
블로그는 취업 과정에서 자신을 효과적으로 드러낼 수 있는 중요한 도구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블로그를 보다 임팩트 있게 작성하는 것이 좋다.
이를 위해 단순히 다른 사람의 블로그를 복사하거나, 글쓰기 자체를 목표로 하루에 한 번 형식적으로 작성하는 것은 피해야 한다.
이해한 내용을 나만의 언어로 표현하는 것이 가장 좋지만, 그게 어렵다면 다른 사람의 글을 참고하더라도 최소한 글꼴과 글자 크기를 정돈하여 가독성을 높이는 노력을 해보자.
명심하면서 앞으로도 블로그를 발전 시키겠습니다!